public class ExampleCase{
private final ChocolateService chocolateService;
private final DrinkService drinkService;
@Autowired
public ExampleCase(ChocolateService chocolateService, DrinkService drinkService){
this.chocolateService = chocolateService;
this.drinkService = drinkService;
}
}
Setter
public class ExampleCase{
private ChocolateService chocolateService;
private DrinkService drinkService;
@Autowired
public void setChocolateService(ChocolateService chocolateService){
this.chocolateService = chocolateService;
}
@Autowired
public void setDrinkService(DrinkService drinkService){
this.drinkService = drinkService;
}
}
Field
public class ExampleCase{
@Autowired
private ChocolateService chocolateService;
@Autowired
private DrinkService drinkService;
}
3개의 코드를보면 Field Injection이 심플하고 간편해보인다. 하지만 Spring 4.3부터는 대부분 Contructor Inject을 추천한다.
Field Injection을 추천하지않는 이유
단일 책임의 원칙 위반
의존성을 주입하기가 쉽다. @Autowired 선언 아래 여러개를 막 추가 할 수가 있다. 하지만 Constructor Injection을 사용하면 다른 Injection 타입에 비해 위기감을 느끼게 해준다. Constructor의 파라미터가 많아짐과 동시에 하나의 클래스가 많은 책임을 떠안는다는 걸 알 수 있다. 이러한 징조들이 리팩토링을 해야한다는 신호가 될 수 있다.
의존성이 숨는다.
DI(Dependecy Injection) 컨테이너를 사용한다는 것은 클래스가 자신의 의존성만 책임진다는게 아니다. 제공된 의존성 또한 책임진다. 그래서 클래스가 어떤 의존성을 책임지지 않을 때, 메서드나 생성자를 통해 (Setter나 Construcotr)이 확t실하게 커뮤니케이션이 되어야한다. 하지만 Field Injection은 숨은 의존성만 제공해준다.
DI 컨테이너의 결합성과 테스트 용이성
DI 프레임워크의 핵심 아이디어는 관리되는 클래스가 DI컨테이너에 의존성이 없어야 한다. 즉, 필요한 의존성을 전달하면 독립적으로 인스턴스화 할 수 있는 단순 POJO여야 한다. DI컨테이너 없이도 유닛테스트에서 인스턴스화 시킬 수 있고, 각각 나누어서 테스트도 할 수있다. 컨테이너의 결합성이 없다면 관리하거나 관리하지 않는 클래스를 사용할 수있고, 심지어 다른 DI컨테이너로 전환 할 수있다.
불변성(Immutability) Constructor Injection과 다르게 Field Injection은 final을 선언할 수 없다. 그래서 객체가 변할 수 있다.
순환 의존성 Constructor Injection에서 순환 의존성을 가질 경우 BeanCurrentlyCreationExeption을 발생시킴으로써 순환 의존성을 알 수 있다.
순환 의존성이란? First Class가 Second Class를 참조하는데 Second Class가 다시 First Class를 참조할 경우 혹은 First Class가 Second Class를 참조하고, Second Class가 Third Class를 참조하고 Third Class가 First Class를 참조하는 경우 이를 순환 의존성이라고 부른다.
그럼 Setter Injection 과 Constructor Injection중에서는 어떤걸 추천할까?
Setter injection
Setter Injection은 선택적인 의존성을 사용할 때 유용하다. 상황에 따라 의존성 주입이 가능하다. 스프링 3.x버전에서는 Setter Injection을 추천했었다.
Constructor Injection
Constructor Injection은 필수적인 의존성 주입에 유용하다. 그리고 final을 선언 할 수 있으므로 객체가 불변 하도록 할 수있다. 그리고 순환 의존성 여부도 파악할수 있다. 그래서 이 코드가 나쁜 디자인 패턴이여서 리팩토링 해야하는지 아닌지 여부도 판단이 가능하다.
스프링 4.3버전 부터는 클래스를 DI프레임워크로부터 분리할 수있다. 단일 생성자에 한해 @Autowired를 붙이지 않아도 된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스프링 4.x버전서는 Setter Injection이아닌 Constructor Injection을 권장한다.
굳이 Setter Injection을 사용한다면, 합리적인 디폴트를 부여 할 수있고 선택적인 의존성을 사용할 때만 사용해야한다고 말한다.
$ docker run -d -p 5432:5432 --name pgsql -it -v pgdate:/var/lib/postgresql/data -e POSTGRES_PASSWORD=1234 postgres
// 이미지 생성 및 볼륨 연결 + 비밀번호 설정
2c0f71a71b7f1ffe8b73ecc9c241bab6c345bbc126f0007654ec8ab125a3627d
$ docker exec -it pgsql bash // bash 접속
/# psql -U postgres // postgres db 접속
postgres-# /userID //비밀번호 재설정을 원하면 아이디를 한번더 친다
Enter new password: //비밀번호 칠때는 공백으로나와도 쳐지고있음
Enter it again:
postgres=# CREATE USER userId WITH SUPERUSER CREATEDB LOGIN ENCRYPTED PASSWORD '1234'; // 슈퍼 유저계정 생성
CREATE ROLE
postgres=# set timezone='ROK'; //타임존설정 ==>한국으로
postgres=# SELECT * FROM PG_USER; // db내에있는 계정들을 출력해준다
usename | usesysid | usecreatedb | usesuper | userepl | usebypassrls | passwd | valuntil | useconfig
------------+----------+-------------+----------+---------+--------------+----------+----------+-----------
postgres | 10 | t | t | t | t | ******** | |
userId | 16384 | t | t | f | f | ******** | |
(2 rows)
postgres-# \du // postgres DB내에있는 계정들의 권한 을 알려주는 명령어
List of roles
Role name | Attributes | Member of
------------+------------------------------------------------------------+-----------
userId | Superuser, Create DB | {}
postgres | Superuser, Create role, Create DB, Replication, Bypass RLS | {}
postgres=# \l // postgres DB내의 모든 db목록을 보여줌
postgres=# CREATE DATABASE jshdb OWER jsh; // db생성 코드 앞에는 db명 뒤는 db생성자 이름이다.
postgres=# \c db명 userId // 생성해준 DB에 접속하는 명령어 \c이다
# CREATE TABLE text(
id integer NOT NULL,
name character varying(255),
class character varying(32),
age integer,
gender character varying(10)
);
CREATE TABLE // 테이블 생성해줌
# CREATE INDEX index_text ON text using btree(name); // 인덱스 생성 해주는 코드
# select *from pg_indexes WHERE tablename ='text'; // 인덱스 정보를 확인이 가능하다
# \d text // text table의 컬럼들과 그 조건들을 확인이 가능하다
Table "public.text"
Column | Type | Collation | Nullable | Default
--------+------------------------+-----------+----------+---------
id | integer | | not null |
name | character varying(255) | | |
class | character varying(32) | | |
age | integer | | |
gender | character varying(10) | | |
Indexes:
"index_text" btree (name)
추가 팁
#begin; //SQL 명령어를 사용하기전에 사용하면
BEGIN
#commit; //커밋해주기전까지 해당 명령들이 저장되지않는다
COMMIT
begin 안하고 그냥 작성하면 default가 자동 명령어 줄때마다 자동 commit되어있는거같습니다. (test가 필요함)
postgreSQl 을 사용하기전에는 volume을 컨테이너와 연결해놓고 사용하는걸 권한다. (데이터 유실방지)
exemtest=# CREATE SCHEMA schema2 AUTHORIZATION userId; //스키마 생성
CREATE SCHEMA
exemtest=# \dn //스키마 목록 확인
List of schemas
Name | Owner
------------+------------
schema2 | userId
schematest | postgres
(2 rows)
-- 스키마 생성
CREATE SCHEMA schema_name AUTHORIZATION username;
-- 스키마 이름 변경
ALTER SCHEMA schema_name RENAME TO new_schema_name;
-- 스키마 소유자 변경
ALTER SCHEMA username OWNER TO new_username;
-- 스키마 삭제
DROP SCHEMA schema_name CASCADE;
# 스키마 / 데이터 모두 복제
pg_dump -U username -n source_schema dbname | sed 's/source_schema/dest_schema/g' | psql -U username -d dbname
# 스키마 만 복제
pg_dump -s -U username -n source_schema dbname | sed 's/source_schema/dest_schema/g' | psql -U username -d dbname
# 데이터 만 복제
pg_dump -a -U username -n source_schema dbname | psql -U username -d dbname -n
REST는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라는 용어의 약자로서 2000년도에 로이 필딩 (Roy Fielding)의 박사학위 논문에서 최초로 소개되었습니다. 로이 필딩은 HTTP의 주요 저자 중 한 사람으로 그 당시 웹(HTTP) 설계의 우수성에 비해 제대로 사용되어지지 못하는 모습에 안타까워하며 웹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아키텍처로써 REST를 발표했다고 합니다
REST라는 아키텍처 스타일이 있는것이고 RESTful API라는 말은 REST 아키텍처 원칙을 모두 만족하는 API라는 뜻입니다.
아키텍처란?
시스템 목적을 달성하기위해 시스템의 상호작용등의 시스템디자인에 대한 제약 및 설계이다 -wiki-
시스템 구성 및 동작 원리
시스템 구성요소에 대한 설계 및 구현을 지원하는 수준을 기술
구성 요소 간의 관계 및 외부환경과의 관계 묘사
요구사양 및 시스템 수명주기 고려
시스템의 전체적인 최적화를 목표
한마디로 정리하면,
최적화를 목표로 두고 시스템 구성과 동작원리 그리고 시스템의 구성환경등을 설명 및 설계하는 청사진 또는 설계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REST가 필요한 이유는 뭘까?
1. 위에서 말한 것과 같이 분산 시스템을 위해서다.
거대한 애플리케이션을 모듈, 기능별로 분리하기 쉬워졌다. RESTful API를 서비스하기만 하면 어떤 다른 모듈 또는 애플리케이션들이라도 RESTful API를 통해 상호간에 통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2. WEB브라우저 외의 클라이언트를 위해서다. (멀티 플랫폼)
웹 페이지를 위한 HTML 및 이미지등을 보내던 것과 달리 이제는 데이터만 보내면 여러 클라이언트에서 해당 데이터를 적절히 보여주기만 하면 된다.
예를 들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으로 html같은 파일을 보내는 것은 무겁고 브라우저가 모든 앱에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알맞지 않았는데 RESTful API를 사용하면서 데이터만 주고 받기 때문에 여러 클라이언트가 자유롭고 부담없이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서버도 요청한 데이터만 깔끔하게 보내주면되기 때문에 가벼워지고 유지보수성도 좋아졌다.
2.REST 구성
자원(RESOURCE) - URI
행위(Verb) - HTTP METHOD
표현(Representations)
3.REST 의 특징
1) Uniform(유니폼 인터페이스)
Uniform interface는 URI로 지정한 리소스에 대한조작을 통일되고 한정적인 인터페이스로 수행하는 아키텍처 스타일을 말합니다.
2)Stateless(무상태성)
REST는 무상태성 성격을 갖습니다. 다시 말해 작업을 위한 상태정보를 따로 저장하고 관리하지 않습니다. 세션 정보나 쿠키 정보를 별도로 저장하고 관리하지 않기 때문에 API서버는 들어오는 요청만을 단순히 처리하면 됩니다. 때문에 서비스의 자유도가 높아지고 서버에서 불필요한 정보를 관리하지 않음으로써 구현이 단순해집니다.
3)Cacheable(캐시가능)
REST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HTTP라는 기존 웹 표준을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웹에서 사용하는 기존 인프라를ㄹ그대로 활용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HTTP가 가진 캐싱 기능이 적용 가능합니다. HTTP프로토콜 표준에서 사용하는 LAST-Modified태그나 E-Tag를 이용하면 캐싱 구현이 가능합니다.
4)Self - descriptiveness(자체표현 구조)
REST의 또 다른 큰 특징 중 하나는 REST API메세지만 보고도 이를 쉽게 이해 할 수있는 자체 표현 구조로 되어 잇다는 것입니다.
5)Client -Server구조
REST 서버는 API제공, 클라이언트는 사용자 인증이나 컨텍스트(세션,로그인 정보)등을 직접 관리하는 구조로 각각의 역활이확실히 구분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와 서버에서 개발해야 할 내용이 명확해지고 서로간 의존성이 줄어들기게 됩니다.
6)계층형 구조
REST 서버는 다중 계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보안로드 밸런싱, 암호화 계층을 추가해 구조상의 유연성을 둘 수있고 PROXY, 게이트웨이 같은 네트워크 기반의 중간매체를 사용할 수있게 합니다.
4. REST API 디자인 가이드
REST API 설계 시 가장 중요한 항목은 다음의 2가지로 요약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URI는 정보의 자원을 표현해야 한다.
두 번째, 자원에 대한 행위는 HTTP Method(GET, POST , PUT, DELETE)로 표현한다
매우 중요한 두가지니 꼭 기억하도록 합시다
4-1 REST API 중심 규칙
1) URI는 정보 자원을 표현해야 한다
GET / members/delete/1
위와 같은 방식은 REST를 제대로 적용하지 않은 URI 입니다. URI는 자원을 표현하는데 중점을 두어야합니다
2) 자원에 대한 행위는 HTTP Method(GET,POST,PUT,DELETE등)으로 표현
간략하게 수정해보면 DELETE /members/1 로 수정이 가능합니다
3)회원 정보를 가져오는 URI
GET /members/show/1 (X)
GET / members/1/ (O)
3-1) 회원을 추가할떄
GET /members/insert/2 (x) -- GET 메서드는 리소스 생성에 맞지 않습니다.
POST/members/2 (o)
METHOD
역활
POST
POST를 통해 해당 URI를 요청하면 리소스를 생성합니다
GET
GET을 통해 해당 리소스를 조회합니다. 리소스를 조회하고 해당 도큐먼트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가져옵니다
PUT
PUT을 통해 해당 리소스를 수정합니다.
DELETE
DELETE를 통해 리소스를 삭제합니다
다음과 같은 식으로 URI는 자원을 표현하는 데에 집중하고 행위에 대한 정의는 HTTP METHOD를 통해 하는 것이 REST한 API를 설계하는 중심 규칙입니다
URL은Uniform Resource Locator
URI는Uniform Resource Identifier (REST API의 기반)
REST에서는 모든것을 리소스로 표현합니다. 그리고 그 자원은 유일한 것을 나타냅니다. 즉 Identifier 식별자라고 할 수있습니다.
과거의 웹은 식별자의 개념이 따로 필요없어서 html같은 파일을주고받고 파일의 위치를 가리키는 Locater를 사용했다고 합니다.
URI는 파일뿐만 아니라 여러 자원들도 포함되어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4-2. URI 설계 시 주의할 점
1) 슬래시 구분자(/)는 계층 관계를 나타내는 데 사용
http://restapi.example.com/houses/apartments
http://restapi.example.com/animals/mammals/whales
2)URI 마지막 문자로 슬래시(/)를 포함하지 안흔다.
URI에 포함되는 모든 글자는 리소스의 유일한 식별자로 사용되어야 하며 URI가 다르다는 것은 리소스가 다르다는 것이고, 역으로 리소스가 다르면 URI도 달라져야 합니다. REST API는 분명한 URI를 만들어 통신을 해야 하기 때문에 혼동을 주지 않도록 URI경로의 마지막에는 슬래시(/)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REST API에서는 메시지 바디 내용의 포맷을 나타내기 위한 파일 확장자를 URI 안에 포함시키지 않습니다. Accept header를 사용하도록 합시다.
GET / members/soccer/345/photo HTTP/1.1 Host: restapi.example.com Accept: image/jpg
리소스 간의 관계를 표현하는 방법
REST 리소스 간에는 연관 관계가 있을 수 있고, 이런 경우 다음과 같은 표현방법으로 사용합니다.
/리소스명/리소스 ID/관계가 있는 다른 리소스명
ex) GET : /users/{userid}/devices (일반적으로 소유 ‘has’의 관계를 표현할 때)
만약 관계명이 복잡하다면 이를 서브 리소스에 명시적으로 표현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여기서 예시는 사용자가 좋아하는 디바이스 목록을 표현해야 할 경우 다음과 같은형태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GET : /users/{userid}/likes/devices (관계명이 애매하거나 구체적 표현이 필요할 때)
자원을 표현하는 Collection과 Document
Collection과 Document에 대해 알면 URI설계가 한층 더 쉬워집니다. DOCUMENT는 단순히 문서로 이해해도 되고, 한 객체라고 이해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컬렉션은 문서들의 집합 혹은 객체들의 집합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컬렉션과 도큐먼트 모두 리소스라고 표현할 수 있으며 URI에 표현됩니다.
아래 예시를 보면
http:// restapi.example.com/sports/soccer
위 URI을 보시면 sports라는 컬렉션과 soccer이라는 도큐먼트로 표현되고 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sports,players 컬렉션과 soccer과 13번선수를 의미하는 도큐먼트로 URI가 구성된걸 확인 할 수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컬렉션은 복수로 사용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조금 더 직관적인 REST API를 위해서는 컬렋ㄴ과 도큐먼트를 사용할 때 단수 복수도 지켜준다면 좀 더 이해하기 쉬운 URI를 설계 할 수 있습니다.
HTTP 응답 상태 코드
상태코드
200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정상적으로 수행함
201
클라이언트가 어떠한 리소스 생성을 요청, 해당 리소스가 성공적으로 생성됨(POST를 통한 리소스 생성 작업 시)
상태코드
400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부적절 할 경우 사용하는 응답 코드
401
클라이언트가 인증되지 않은 상태에서 보호된 리소스를 요청했을 때 사용하는 응답 코드
(로그인 하지 않은 유저가 로그인 했을 때, 요청 가능한 리소스를 요청했을 때)
403
유저 인증 상태와 관계 없이 응답하고 싶지 않은 리소스를 클라이언트가 요청했을 때 사용하는 응답 코드
(403 보다는 400이나 404를 사용할 것을 권고, 403체가 리소스가 존재한다는 뜻이기 때문에)
404(Not Found, 찾을 수 없음)
서버가 요청한 페이지(Resource)를 찾을 수 없다. 예를 들어 서버에 존재하지 않는 페이지에 대한 요청이 있을 경우 서버는 이 코드를 제공한다.
405
클라이 언트가 요청한 리소스에서는 사용 불가능한 Method를 이용했을 경우 사용하는 응답 코드
컨테이너 외부 노출 -p [호스트의 포트]:[컨테이너의 포트] $ docker run -i -t --name mywebserver -p 80:80 ubuntu:14.04
apache설치해서 테스트 ??
$ apt-get update # apt-get 업데이트 $ apt-get install apache2 -y # 아파치2 설치, -y 옵션은 중간에 "설치하시겠습니까?"에 대해서 Yes라는 의미 $ service apache2 restart # 설치한 아파치2 실행
컨테이너 사용
옵션 -d detached mode 흔히 말하는 백그라운드 모드 -p 호스트와 컨테이너의 포트를 연결 (포워딩) -v 호스트와 컨테이너의 디렉토리를 연결 (마운트) -e 컨테이너 내에서 사용할 환경변수 설정 –name 컨테이너 이름 설정 –rm 프로세스 종료시 컨테이너 자동 제거 -it -i와 -t를 동시에 사용한 것으로 터미널 입력을 위한 옵션 –link 컨테이너 연결 [컨테이너명:별칭]
데이터 볼륨은 호스트 운영체제의 파일 시스템을 사용한다. AUFS와 Overlay 파일시스템 같은 유니온 파일 시스템은 (ext4같은)네이티브 파일시스템위에 올라가기 때문에 아무래도 성능이 떨어진다. 데이터 볼륨으로 이런 단점을 극복 할 수 있다. 데이터 볼륨은 재사용 가능하며, 컨테이너들 간에 공유 할 수 있다. 데이터 볼륨은 호스트에서 직접 접근 할 수 있다. 데이터 볼륨은 컨테이너가 삭제되도 계속 유지된다. 기본적으로 컨테이너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기 때문이다. 데이터 볼륨은 컨테이너의 주기와는 독립적으로 작동하며, 데이터를 유지(persist data)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도커는 컨테이너를 삭제 할 때, 자동으로 볼륨을 삭제하지 않는다.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볼륨은 gargabe collect 해줘야 한다.
볼륨 명령어 모음
볼륨 생성 : docker volume create 볼륨 목록 확인 :docker volume ls 볼륨 삭제 : docker vlume rm 볼륨 정보 확인 docker volume inspect + 볼륨 name